10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8)
기독교강요강해(10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1장 믿음에 의한 칭의 : 그 명칭과 문제에 대한 정의 (오시안더(Osiander)의 “본질적 의”라는 생각을 논박함, 5-12) 6항. 오시안더는 죄의 용서와 중생을 혼동한다 7항. 칭의를 위한 믿음의 의의 8항. 그리스도는 그의 신성에 의해서 우리의 의가 되신다는 오시안더의 주장 9항. 칭의는 중보가 하시는 일 10항. 우리와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어떤 성격을 가졌는가
|
10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7)
기독교강요강해(10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1장 믿음에 의한 칭의 : 그 명칭과 문제에 대한 정의 (칭의와 중생 : 용어를 정의함, 1-4) 1항. 칭의의 교리, 그 위치와 의미 2항. 칭의의 개념 3항. 성경에 있는 용법 4항. 칭의는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용납이며 죄의 용서이다 (오시안더(Osiander)의 “본질적 의”라는 생각을 논박함, 5-12) 5항. 오시안더의 본질적 의라는 사상
|
10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6)
기독교강요강해(10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0장 현세 생활과 그 보조 수단들을 사용하는 법 (현세 생활에서 좋은 사물은 하나님의 선물로 생각하여 즐겨 사용하라, 1-2) 1항. 두 가지 위험 : 잘못된 엄격한 금욕과 잘못된 방종 2항. 대 원칙 (우리는 하늘로부터 받은 이런 각종 은혜를 무절제하게 사용하거나, 재리를 탐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소명을 따라 충실히 섬겨야 한다, 3-6) 3항. 선물을 주신 이를 우러러 보면, 옹졸한 생각과 방종을 막을 수 있다 4항. 영생을 갈망하는 것도 우리의 외면적 생활을 바르게 결정한다 5항. 검소와 지상 위탁물인 지상 소유에 대하여 6항. 주의 부르심이 우리의 생활 양식의 기초임
|
10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5)
기독교강요강해(10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9장 십자가를 지는 것 : 자기 부정의 일부 (하나님께서는 고난을 통해서 우리를 현세에 대한 과도한 애착에서 멀어지게 하신다. 1-2) 2항. 우리는 현세 생활의 허무성을 보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무상하고 불완전한 현세 생활을 바르게 평가하면 내세를 명상하게 된다. 3-6) 3항. 지상 생활을 감사함 4항. 영생에 대한 올바른 동경 5항. 죽음에 대한 공포심을 배격함 6항. 내세에 대한 열망은 신자에게 위로를 마련해준다
|
10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4)
기독교강요강해(10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8장 십자가를 지는 것 : 자기 부정의 일부 (박해와 기타 재난에서 십자가를 짐, 7-8) 8항. 십자가 밑에서 고통당하는 그리스도인은 하나님 안에서 위로를 얻는다 (그리스도인은 고난을 당할 때에 그것을 하나님께서 보내신 것으로 생각하나, 스토아적으로 무감각한 것은 아니다. 9-11) 9항. 스토아 사상가와 달라서 그리스도인은 고통과 슬픔을 밖으로 나타낸다 10항. 현실의 슬픔과 현실의 인내는 서로 충돌한다 11항. 인내에 대한 철학적인 견해와 기독교적인 견해 제9장 내세에 대한 명상 (하나님께서는 고난을 통해서 우리를 현세에 대한 과도한 애착에서 멀어지게 하신다. 1-2) 1항. 허무한 현세 생활
|
10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3)
기독교강요강해(10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8장 십자가를 지는 것 : 자기 부정의 일부 (우리는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각각 십자가를 져야 한다, 1-2) 1항.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우리의 십자가 2항. 십자가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능력을 완전히 믿게 만든다 (이것은 우리에게 인내와 복종을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하다, 3-6) 3항. 십자가는 하나님의 신실을 경험하는 기회와 미래에 대한 소망을 준다 4항. 십자가는 우리의 인내와 순종을 훈련시킨다 5항. 십자가는 약이다 6항. 십자가는 아버지께서 주시는 징벌이다 (박해와 기타 재난에서 십자가를 짐, 7-8) 7항. 의를 위하여 고통을 받음
|
10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2)
기독교강요강해(10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7장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핵심 : 자기 부정 (우리와 이웃과의 관계에서의 자기 부정의 원칙, 4-7) 6항. 이웃에 대한 사랑은 사람의 종류에 좌우되지 않고 하나님만을 우러러 본다 7항. 보이는 사랑만으로는 부족하고, 중요한 것은 의향이다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자기 부정의 원칙, 8-9) 8항. 하나님께 대한 자기 부정은 그의 뜻에 대한 헌신이다 9항. 하나님이 주시는 복만을 의지하라 10항. 자기 부정은 역경을 견디는 힘을 준다
|
10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1)
기독교강요강해(10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7장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핵심 : 자기 부정 (탈속과 자기 부정의 기독교 철학; 우리는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것이다. 1-3) 1항. 우리는 우리 자신의 주인이 아니고 하나님에게 속하였다 2항. 하나님께 헌신함으로써 자기를 부정함 3항. 디도서 2장에 나타난 자기 부정 (우리와 이웃과의 관계에서의 자기 부정의 원칙, 4-7) 4항. 자기 부정은 이웃에 대한 우리의 태도를 바르게 한다 5항. 자기 부정은 이웃을 돕는 태도를 바르게 한다
|
10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00)
기독교강요강해(10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6장 그리스도인의 생활; 첫째로 성경은 어떤 논거로 우리에게 이 생활을 역설하는가? 1항. 이 논설의 골자 2항. 그리스도인 생활의 동기 3항.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하나님의 일을 하겠다는 가장 강렬한 동기를 그리스도 자신과 그의 구속 행위에서 얻는다 4항. 그리스도인의 생활은 혀의 문제가 아니고, 가장 깊은 마음의 문제이다 5항.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불완전과 노력
|
9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9)
기독교강요강해(9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5장 보속설에 첨부된 면죄부와 연옥 (연옥설을 반박함; 연옥설 지지용으로 인용된 구절들을 해석함, 6-10) 7항. 복음서에 연옥을 증명하는 말씀이 있다고 한다 8항. 빌립보서와 계시록과 마카비후서에서 9항. 고린도전서 3장에 있는 결정적인 귀절 10항. 초대교회에 호소하는 것도 로마 교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9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8)
기독교강요강해(9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5장 보속설에 첨부된 면죄부와 연옥 (면죄부의 교리는 오류이며 그 영향은 유해하다. 1-5) 1항. 로마교회의 면죄부와 그 해독 2항. 면죄부는 성경에 배치된다 3항. 권위자들은 면죄부와 순교자들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는다 4항. 반대자들의 성경해석을 반대함 5항. 면죄부는 그리스도의 은혜의 통일성과 포괄적 활동을 방해한다 (연옥설을 반박함; 연옥설 지지용으로 인용된 구절들을 해석함, 6-10) 6항. 연옥설은 논박할 필요가 있다
|
9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7)
기독교강요강해(9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여러 가지 차이점과 반대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28-39) 33항. 보복의 심판은 벌하기 위한 것이며 징계의 심판은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34항. 하나님의 징계를 받는 신자는 낙망하지 말라 35항. 다윗이 받은 벌 36항. 벌에 대한 배상으로서의 선행 37항. 죄인이었던 여인 38항. 로마교회 교리는 교부들의 권위를 근거로 삼을 수 없다 39항. 스콜라 학자들은 교부들의 교훈을 부패시킨다
|
9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6)
기독교강요강해(9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여러 가지 차이점과 반대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28-39) 28항. 소죄와 대죄 29항. 죄가 용서되면 벌도 면제된다 30항. 그리스도의 특별 희생만이 벌과 죄책을 제거할 수 있다 31항. 그릇된 해석을 폭로함 : 하나님의 심판에는 처벌적인 것과 교정적인 것이 있다 32항. 하나님의 보복의 심판과 징계의 심판은 목적이 전연 다르다
|
9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5)
기독교강요강해(9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22항. 열쇠의 권한을 그릇되게 쓰는 것과 바르게 쓰는 것과의 차이 23항. 그릇된 주장을 폭로함 24항. 요약 25항. 천주교의 교리를 개관하며 논박함 (그리스도의 은혜만이 죄에 대한 진정한 보속을 제공하며 양심에 평화를 준다, 26-27) 26항. 그리스도는 완전한 보속을 제공하셨다 27항. 로마 교회의 교리는 그리스도의 영광을 탈취하며, 양심의 확신을 일소한다
|
9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4)
기독교강요강해(9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17항. 완전한 고백을 요구하는 것은 무한한 고통을 준다 18항. 완전한 고백을 요구하는 데서 오는 악영향 19항. 비밀 고백을 비평함 20항. 열쇠의 권한에 호소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21항. 사제가 매고 푸는 것은 불확실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