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3)
기독교강요강해(9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성경에 있는 죄의 고백, 9-13) 11항. 온 회중이 죄를 고백함 12항. 영혼의 치료와 사적고백 13항. 원망을 제거하기 위한 사적 고백 (열쇠의 권한과 죄의 사면, 14-15) 14항. 열쇠의 권한 : 그 성격과 가치 15항. 고백에 대한 천주교 교리의 요점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16항. 모든 죄를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9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2)
기독교강요강해(9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고백과 통회에 관한 스콜라 교리와 그 성경적 근거를 검토함, 1-6) 5항. 나사로를 풀어준 것을 곡해한다 6항. 성경적인 고백 (비밀 고백은 후대에 생겼다는 증거, 7-8) 7항. 고대 교회에는 의무적인 고백이 없었다 8항. 크리소스톰은 사람에게 고백하라고 명령하지 않는다 (성경에 있는 죄의 고백, 9-13) 9항. 하나님 앞에서 고백함 10항. 사람들 앞에서 죄를 고백함
|
9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1)
기독교강요강해(9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고백과 통회에 관한 스콜라 교리와 그 성경적 근거를 검토함, 1-6) 1항. 회개에 관한 스콜라 교리 2항. 회개에 관한 스콜라 교리는 양심을 괴롭힌다 3항. 죄인의 통회가 아니라, 주의 자비가 기다리고 있다 4항. 고백하라는 명령은 없다 : 깨끗함을 받은 나환자들에 대한 스콜라파의 은유적 추리를 반박함
|
9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0)
기독교강요강해(9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해도 소용 없고 용서를 받을 수도 없는 죄들, 21-25)
21항. 회개는 거저 주시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22항. 용서할 수 없는 죄
23항. “두번 째 회개”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24항. 용서받을 수 없는 자들은 회개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25항. 가짜 회개와 진짜 회개
|
8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9)
기독교강요강해(8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의 열매 : 거룩한 생활, 죄의 고백과 용서, 평생 계속하는 회개, 16-20)
16항. 외면적인 회개와 내면적인 회개
17항. 회개의 외면적 실천이 주된 문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
18항. 하나님 앞과 사람 앞에서 죄를 고백하는 것에 대하여
19항. 회개와 용서는 서로 관련되어 있다
20항. 어떤 의미에서 회개는 용서의 선행 조건인가
|
8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8)
기독교강요강해(8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신자들은 성화를 체험하지만 현세 생활에서는 죄 없는 완전성을 체험하지 못한다. 10-15)
11항. 신자들 속에서 죄는 지배력을 잃었으나 여전히 살아 있다
12항. “타고난 부패”란 무슨 뜻인가
13항. 신자들이 여전히 죄인인 데 대한 어거스틴의 증언
14항. 완전성이라는 환상에 반대함
15항. 고린도후서 7:11에 있는 회개
|
8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7)
기독교강요강해(87)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를 정의함 : 그 요소들인 육을 죽임과 영을 살림을 설명함, 5-9)
5항. 정의
6항. 회개는 하나님께로 돌아서는 것
7항. 회개는 하나님을 두려워할 때에 생긴다
8항. 죽임과 살림은 회개의 구성 부분이다
9항.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남
(신자들은 성화를 체험하지만 현세 생활에서는 죄 없는 완전성을 체험하지 못한다. 10-15)
10항. 신자들은 여전히 죄인이다
|
8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6)
기독교강요강해(8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과 소망 및 사랑과의 관계, 41-43)
42항. 믿음과 소망은 서로 연결된다
43항. 믿음과 소망은 하나님의 자비라는 동일한 토대 위에 섰다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는 믿음의 결과이다. 이 점에 관한 몇 가지 오류를 고찰함, 1-4)
1항. 믿음의 결과로서의 회개
2항. 회개의 근거는 복음에 있으며, 믿음은 복음을 받아들인다
3항. 죽임과 살림
4항. 율법 하의 회개와 복음 하의 회개
|
8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5)
기독교강요강해(8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은 성령에 의하여 우리의 마음에 계시된다, 33-37)
35항. 사람은 성령이 없이는 믿음을 가질 수 없다
36항. 마음의 문제로서의 믿음
37항. 의심은 믿음을 질식시키지 못한다
(여기에 대한 스콜라 철학자의 항의를 논박함, 38-40)
38항. 믿음의 확신에 관한 스콜라 철학자의 오류
39항. 그리스도인은 성령의 내주를 기뻐한다
40항. 우리가 끝까지 견인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확실치 못하다는 생각
(믿음과 소망 및 사랑과의 관계, 41-43)
41항. 히브리서11:1에 있는 믿음
|
8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4)
기독교강요강해(8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기초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값없이 주신다는 약속인데, 이 약속은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29-32)
31항. 믿음에 대하여 말씀이 가지는 의의
32항. 믿음의 약속은 그리스도에게서 실현되었다
(믿음은 성령에 의하여 우리의 마음에 계시된다, 33-37)
33항. 말씀은 성령을 통해서 우리의 믿음에 효과를 나타낸다.
34항. 성령만이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인도하신다
|
8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3)
기독교강요강해(8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과의 관계, 16-28)
25항. 믿음의 두 면에 대하여 베르나르가 한 말
26항. 하나님을 경외함과 하나님을 공경함
27항. 자녀의 두려움과 종의 두려움
28항. 믿음이 확약하는 것은 지상의 번영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이다
(믿음의 기초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값없이 주신다는 약속인데, 이 약속은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29-32)
29항. 하나님의 약속이 믿음을 지탱한다
30항. 믿음이 은혜에 대한 약속만을 토대로 삼는 이유
|
8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2)
기독교강요강해(8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과의 관계, 16-28)
18항. 신자의 내심에 있는 갈등
19항. 약한 믿음도 참 믿음이다
20항. 믿음의 약점과 강점
21항. 하나님의 말씀은 믿음의 방패이다
22항. 옳은 두려움
23항. “두려움과 떨림”
24항. 믿음의 확실성이 확고 부동한 것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하나가 되시기 때문이다
|
8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1)
기독교강요강해(8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이란 말에 대한 여러 가지 용납할 수 없는 정의들, 8-13)
13항. “믿음”이란 말은 성경에서 여러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제7항에 있는 믿음의 정의에 내포된 것을 자세히 검토함: 지식의 요소, 14-15항)
14항. 고상한 지식으로서의 믿음
15항. 믿음은 확실성을 내포한다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과의 관계, 16-28)
16항. 믿음은 확실성
17항. 시험과 싸울 때의 믿음
|
8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0)
기독교강요강해(8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이란 말에 대한 여러 가지 용납할 수 없는 정의들, 8-13)
8항. 내실적 신앙과 형식적 신앙
9항. 고린도전서 13:2-내실적 신앙과 형식적 신앙의 차이를 증명한다
10항. “형식적” 신앙은 환상에 불과하다
11항. 버림을 받은 사람들에게도 “믿음”이 있는가
12항. 진정한 믿음과 거짓된 믿음
|
7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9)
기독교강요강해(7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신앙은 지식을 내포한다. 스콜라의 맹신이라는 사고는 참된 교리를 흐리게 한다, 2-5)
2항. 믿음의 근거는 지식이지 경건한 무지가 아니다
3항. 로마 교회의 맹신이라는 교리는 근본적으로 틀렸다
4항. 바른 믿음도 항상 오류와 불신앙에 둘러싸인다
5항. 예비 신앙으로서의 “맹신”
(말씀에 대한 믿음의 관계; 믿음의 요약된 정의, 6-7)
6항. 믿음의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7항. 그리스도 안에서 은혜를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에서 믿음이 생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