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람중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9)-제59문
|
34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9)
기독교강요강해(11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5장 행위의 공로에 대한 자랑은 의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구원의 확신을 파기한다 (사람의 공로로 그리스도의 공로를 대치하는 데 반대함, 5-8) 8항. 바른 교리를 기초로 한 충고와 위로 제16장 이 교리를 겨냥한 교황주의자들의 거짓된 중상에 대한 반박 1항. 칭의의 교리는 선행을 배제하는가 2항. 칭의의 교리는 선행에 대한 열성을 억누르는가 3항. 하나님의 영광과 하나님의 자비가 행동의 동기가 된다 : 행위는 종속적인 것이다
|
34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8)
기독교강요강해(11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5장 행위의 공로에 대한 자랑은 의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구원의 확신을 파기한다 (의롭다함을 얻으려면 인간의 공로가 필요하다는 교리는 성경뿐만 아니라, 어거스틴과 베르나르드도 반대한다, 1-4) 3항. 선행의 가치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서 온다 4항. 반증에 대답함 (사람의 공로로 그리스도의 공로를 대치하는 데 반대함, 5-8) 5항. 그리스도께서는 유일한 기초이며, 창시자이시며, 완성자이시다 6항. 로마 교회의 신학은 그리스도의 힘과 영광을 소멸한다 7항. 로마 교회의 신학은 어거스틴이나 성경을 이해하지 못했다
|
346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8)-제58문
|
345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7)-제57문
|
34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7)
기독교강요강해(11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믿음에 의한 의에 대한 스콜라 학파의 항의와 성자들의 잉여 공로설을 검토 반박함, 12-21) 18. 그러나 선행을 보면 믿음이 강화될 수 있다 19. 행위는 소명의 결과이다 20. 행위는 하나님의 선물이며, 신자들의 확신의 기초가 될 수 없다 21. 간혹 선행을 하나님의 은혜의 이유라고 말하는 의미 제15장 행위의 공로에 대한 자랑은 의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구원의 확신을 파기한다 (의롭다함을 얻으려면 인간의 공로가 필요하다는 교리는 성경뿐만 아니라, 어거스틴과 베르나르드도 반대한다, 1-4) 1항. 잘못된 물음과 참된 물음 2항. “공로”란 말은 성경에 없으며, 위험한 말이다
|
343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6)-제56문
|
34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6)
기독교강요강해(11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믿음에 의한 의에 대한 스콜라 학파의 항의와 성자들의 잉여 공로설을 검토 반박함, 12-21) 12. 반대자들의 핑계 13. 잉여 공로를 말하는 사람은 하나님의 요구의 가혹함과 죄의 중대성을 오해하였다 14. 우리의 의무를 완수하더라도 우리에게 영광이 되지 못하며, 또 완수할 수도 없다 15. 우리와 우리의 것은 모두 하나님의 것이므로 잉여 업적은 있을 수 없다 16. 행위를 믿거나 행위를 자랑하지 말라 17. 행위는 결코 거룩의 원인이 될 수 없다
|
341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5)-제55문
|
340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4)-제54문
|
339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3)-제53문
|
33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5)
기독교강요강해(11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자연 상태의 인간은 죄로 죽었으며 구속될 필요가 있다, 1-6) 6. 사람은 자기의 의를 위해서 아무것도 공헌할 수 없다 (위선자와 이름뿐인 그리스도인들은 정죄를 받는다, 7-8) 7. 의는 심령의 문제이다 8. 사람과 행위 (중생한 사람들은 믿음으로만 의롭다함을 얻는다, 9-11) 9. 또 진정한 신자들도 자기 힘으로는 아무런 선한 일을 하지 못한다 10. 자신의 의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율법의 엄격성을 오해하였다 11. 신자들의 의는 언제든지 믿음에 의한 의다
|
337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2)-제52문
|
336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51)-제51문
|
33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4)
기독교강요강해(11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3장 거저 주시는 칭의에 관하여 유의할 두 가지 사항 5항. 하나님의 거져 주시는 은혜를 믿어야만 양심이 평안하며 기도에 평안이 있다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자연 상태의 인간은 죄로 죽었으며 구속될 필요가 있다, 1-6) 1항. 칭의와 관련하여 인간은 네 종류로 나누인다 2. 불신자들의 덕행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3. 진정한 믿음이 없으면 진정한 덕도 없다 4. 그리스도가 없으면 진정한 거룩도 없다 5. 하나님 앞에서 인정되는 의는 은혜에서 오며, 아무리 선한 행위일지라도 행위에서 오는 것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