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mons

최근설교

강해설교

시리즈설교

단편설교

교리강론

신앙특강

설교해설

교리강론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7)-제117문

첨부파일

본문

설교일 2025-07-27
본문 렘17:21~22
설교자 강문진 목사

117  안식일 혹은 주일을 어떻게 거룩하게 하여야 하는가?

답  안식일 혹은 주일을 거룩하게 함은 온종일 거룩히 쉼으로 할 것이니 언제나 죄악된 일을 그칠 뿐 아니라 다른 날에 합당한 세상 일이나 오락까지 그만두어야 하되 부득이한 일과 자선 사업에 쓰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시간을 공사간 예배하는 일에 드리는 것을 기쁨으로 삼을 것이다. 그 목적을 위하여 우리 마음을 준비할 것이며, 세상 일을 미리 부지런히 절제 있게 배치하여 적절히 처리하여 주일의 의무들에 더욱더 자유로이 또는 적당히 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라인으로 보내기
Total 444건 1 페이지
교리강론 목록
번호 제목
444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9)-제129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9)-제129문

문 129  아랫사람들에 대하여 윗사람들에게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가요?

  윗사람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하나님에게서 받은 권세와 그들이 가진 관계에 따라서 그들의 아랫사람들을 사랑하고, 위하여 기도하고, 축복하며, 그들을 가르치고, 권고하고, 훈계하며, 잘하는 자들을 격려하고, 칭찬하고, 포상하며, 잘못하는 자들을 반대하고 책망하고 징벌하며, 영혼과 몸에 필요한 모든 것을 그들을 위하여  보호하고 예비하며, 정중하고 지혜롭고 거룩하고 모범적인 태도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고 자신들에게 영예가 있게 하여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권위를 보존하는 것이다.

443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5)-제128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5)-제128문

문128  아랫사람들이 윗사람들에게 대하여 범하는 죄들은 무엇인가?

답  아랫사람들이 윗사람들에게 대하여 범하는 죄들은 그들에게 요구된 의무를 소홀이 함과 합법적인 권고의 명령, 징계에 그들의 인물과 지위를 시기하고 경멸하고 반역함과 그들과 그들의 정부에 치욕과 불명예로 판명되는 그런 모든 다루기 힘든 수치스러운 태도 등이다.

442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4)-제126~127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4)-제126~127문

126  제 오 계명의 일반적 범위는 무엇인가?

답  제 오 계명의 일반적 범위는 아랫사람 윗사람 혹은 동등자들로서 몇몇 상호 관계에 있어서 우리가 서로 지고 있는 의무들을 행하는 것이다.

 

127  아랫사람들이 윗사람들에게 어떻게 존경을 표시해야 할 것인가?

답  아랫사람들이 윗사람들에게 표시해야 할 존경은 언행 심사 간에 모든 합당한 경의와 그들을 위한 기도와 감사, 그들의 덕행을 본받음과 그들의 합법적인 명령과 권고에 즐거이 순종함과, 그들의 징계에 당연히 굴복함과 그들의 여러 등급 및 그들의 지위의 성질에 따라 윗사람들의 인물과 권위에 충성하고, 옹호하며 지지함과 그들의 연약성을 참고 이를 사랑으로 덮음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그들과 그들의 정부에게 영예가 되게 함이다.

441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3)-제123~125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3)-제123~125문

123  제 오 계명은 무엇인가?

  제 오 계명은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는 것이다


124  제 오 계명에 있는 부모는 누구를 뜻하는가?

  제 오 계명에 있는 부모는 혈육의 부모뿐 아니라 연령은사의 모든 윗사람과 특히 하나님의 규례에 의하여 가정교회국가를 막론하고 우리 위에 권위의 자리에 있는 자들을 말한다.

 

125  왜 윗사람들을 부모라 칭하여야 하는가?

  윗사람들을 부모라 칭함은 아랫사람들에 대한 모든 의무를 가르쳐 육신의 부모같이 그 몇몇 관계에 따라 아랫사람들을 사랑으로 부드럽게 대하게 하고 아랫사람들로 하여금마치 그들 자신의 부모에게 하듯 자기 윗사람들에 대한 의무를 더욱더 기꺼이 유쾌하게 행하게 하려 함이다.

 

440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47)

기독교강요강해(14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22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선택과 유기의 이 근거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대답함, 7-11)

9. 사람의 공로에 대한 하나님의 예지가 선택과 연결되는 것은 거저 주시는 은혜가 바로 이런 공로를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 아닌가

10. 하나님의 부르심의 보편성과 선택의 특수성

11. 제외되는 것도 행위 때문이 아니고 오직 하나님의 뜻에 따라서 생기는 일이다

439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2)-제122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2)-제122문

122  사람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포함하는 나머지 여섯 가지 계명의 대강령은 무엇인가?

 사람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포함하는 나머지 여섯 가지 계명의 강령은 우리 이웃을 내 몸같이 사랑하며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우리도 남을 대접하는 것이다.

 

438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46)

기독교강요강해(14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22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선택은 공로에 대한 예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목적에서 온다, 1-6)

6. 야곱이 선택된 목적은 지상의 복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선택과 유기의 이 근거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대답함, 7-11)

7. 선택에 관한 그리스도의 증거

8. 하나님의 예지에 대한 교부들의(특히 어거스틴) 생각

 

437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1)-제121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1)-제121문

121  제 사 계명의 첫머리에 왜 기억하라는 말이 있는가?

답  제 사계명의 첫머리에 기억하라는 말이 있음은 부분적으로 안식일을 기억함에서 오는 큰 혜택 때문이니, 우리가 그것에 의하여 이 날을 지키려고 준비하는 일에 도움을 받으며 이를 지킴에 있어서 남은 모든 계명을 지킴과 짧은 종교의 요약을 포함하는 창조와 구속의 두 가지 큰 혜택을 계속하여 감사히 기억함은 더 좋은 일이기 때문이며, 부분적으로는 우리가 이 날을 흔히 잊어버리기 쉽기 때문이니, 이것에 대한 자연의 빛이 조금 적으나 이것은 오히려 다른 때에 합당한 일들에 있어서의 우리의 본래의 자유를 제재하며, 이것은 이레 중에 단 한 번만 오고 여러 가지 세상의 일들이 그 사이에 옴으로 우리들의 마음을 이 날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빼앗아 가서 이 날을 준비하거나 이 날을 거룩히 하는 일에 지장이 있게 하며, 사단은 그의 기구들을 가지고 많이 힘써 이 날의 영광을 거두어 버리고, 심지어 이를 기억하지 못하게 하여 모든 비종교적, 불경한 요소를 들어오게 하려 한다.

 

436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0)-제120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0)-제120문

120  제 사 계명을 더욱 더 강화하려고 여기에 어떠한 이유들이 부가되었는가?

답   제 사 계명을 더욱 더 강화하려고 부가된 이유들은하나님께서 이레 중 엿새를 허락하셔서 우리 자신의 일을 돌보게 하시고자기 자신을 위해서는 하루만을 남겨 두신 이 계명의 공평성에 있으니「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다하신 말씀에 나타나 있는 것이며,「제 칠일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이라 하시어 그 날의 특별한 적절성에 대해 하나님께서 주의를 촉구하신 데 있으며이는엿새 동안에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제 칠일에 쉬신하나님의 본을 받음에 있으며하나님께서 이 날을 자기를 섬기는 거룩한 날로 거룩하게 하실 뿐 아니라 우리가 이 날을 거룩히 지킬 때 우리에게 주시는 복의 방편으로 정하심으로 이 날을 복되게 하신 데 있는 것이다.

 

 

435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9)-제119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9)-제119문

119  제 사 계명에서 금지된 죄들은 무엇인가?

  제 사 계명에서 금지된 죄들은 요구된 의무 중에 어느 것이라도 빠뜨림이며이 의무들을 모두 부주의하며 태만하여 무익하게 이행함과 이에 지쳐 괴로워함이며게으름과 그 자체가 죄인 일을 함으로그리고 세상의 일과 오락에 대하여 필요없는 일생각 등을 함으로 그 날을 더럽힘이다

434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45)

기독교강요강해(14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22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선택은 공로에 대한 예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목적에서 온다, 1-6)

2. 창세 전의 선택은 공로의 예지와 관계가 없다

3. 선택하신 것은 거룩하게 만드시기 위한 것이었지 거룩하기 때문은 아니었다

4. 로마서 9-11장과 유사 구절들

5. 야곱과 에서의 경우는 행위를 근거로 삼는 주장을 반박한다

433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대요리문답강해(118)-제118문

대요리문답강해(118)-제118문

118  왜 가장들과 기타 윗사람들에게 안식일을 지키라는 훈령이 특별히 지향되는가?

답  특별히 가장들과 기타 윗사람들에게 안식일을 지키라는 훈령이 더욱 특별히 지향되는 것은 그들 자신에게 안식일을 지킬 의무가 있을 뿐 아니라 그들의 통솔 아래 있는 사람들도 안식일을 반드시 지키게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며, 그들 자신의 일로 아랫사람들이 안식일을 못 지키게 방해하는 일이 흔히 있기 때문이다.

열람중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7)-제117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7)-제117문

117  안식일 혹은 주일을 어떻게 거룩하게 하여야 하는가?

답  안식일 혹은 주일을 거룩하게 함은 온종일 거룩히 쉼으로 할 것이니 언제나 죄악된 일을 그칠 뿐 아니라 다른 날에 합당한 세상 일이나 오락까지 그만두어야 하되 부득이한 일과 자선 사업에 쓰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시간을 공사간 예배하는 일에 드리는 것을 기쁨으로 삼을 것이다. 그 목적을 위하여 우리 마음을 준비할 것이며, 세상 일을 미리 부지런히 절제 있게 배치하여 적절히 처리하여 주일의 의무들에 더욱더 자유로이 또는 적당히 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431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강해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6)-제115-116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6)-제115-116문

115   제 사 계명은 무엇인가?

답  제 사 계명은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나 제 칠일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너나 네 아들이나 네 딸이나 네 남종이나 네 여종이나 네 육축이나 네 문안에 유하는 객이라도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제 칠일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그 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 하신 것이다.


116  제 사 계명에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답  제 사 계명이 모든 사람에게 요구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자기의 말씀에 지정하신 정한 시기특히 칠일 중에 하루 온종일 거룩하게 하는 것 곧 거룩히 지키는 것인데이는 창세로부터 그리스도의 부활까지 제 칠일이고 그 후로부터 매주 첫날이 되어 세상 끝날까지 이렇게 계속하게 되어 있으니 이것이 기독교의 안식일인데 신약에서 주일이라고 일컫는다.

430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44)

기독교강요강해(14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21장 영원한 선택 : 하나님께서는 이 선택에 의해 어떤 사람은 구원에, 또 어떤 사람은 멸망에 처하도록 예정하셨다

  (이스라엘 백성과 각 개인에 관련해서 예정을 정의하여 설명함, 5-7)

6. 둘째 단계 : 이스라엘 백성 개인들에 대한 선택과 유기

7. 실제적인 선택으로서의 개인의 선택

22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선택은 공로에 대한 예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목적에서 온다, 1-6)

1. 선택과 공로에 대한 예지

 

게시물 검색